고혈압 원인·증상·치료·예방 총정리

 

고혈압은 심혈관 질환의 가장 큰 위험 요인입니다. 원인·정상 혈압 기준, 합병증, 진단법, 약물·비약물 치료, DASH 식단, 운동 가이드, 최신 연구 데이터까지 종합 정리했습니다. 건강한 혈압 관리를 위한 핵심 정보를 확인하세요!

고혈압이란?

고혈압은 수축기 혈압이 140mmHg 이상 또는 이완기 혈압이 90mmHg 이상인 상태를 의미합니다. 한국 성인 약 3명 중 1명이 고혈압을 가지고 있으며, 그중 절반은 자신이 고혈압임을 인지하지 못합니다. 증상이 없어 ‘침묵의 살인자’로 불리며, 관리가 되지 않으면 뇌졸중, 심근경색, 신부전 등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어집니다.

고혈압
고혈압


혈압 기준과 단계

구분수축기(mmHg)이완기(mmHg)
정상<120<80
주의 단계120~129<80
고혈압 1기130~13980~89
고혈압 2기≥140≥90

가정혈압은 앉은 자세에서 5분 이상 안정 후 측정하고, 최소 2회 평균값을 기준으로 합니다.



원인과 위험 요인

  • 나트륨 과다 섭취: 한국인의 하루 평균 소금 섭취량은 WHO 권장치의 2배
  • 비만 및 복부 비만: 허리둘레 남 90cm↑, 여 85cm↑일 때 위험 급상승
  • 운동 부족, 스트레스, 흡연, 과음
  • 유전: 부모가 고혈압이면 자녀 발생 위험 2배
  • 신장 질환, 내분비 이상(갑상선·쿠싱증후군)

대표 증상 및 합병증

대부분 무증상이지만 두통, 어지럼, 시야 흐림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합병증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뇌혈관질환: 뇌졸중 위험 4배
  2. 심혈관질환: 심근경색, 협심증
  3. 신장질환: 만성신부전, 투석 필요
  4. 망막손상: 시력 저하


정확한 진단 방법

24시간 활동혈압(ABPM) 측정이 가장 정확합니다. 가정혈압은 주 2~3회, 아침·저녁 2회 측정하여 기록하고, 2주 이상 평균값으로 진단합니다. ‘백의 고혈압’이 의심되면 활동혈압계로 확인이 필요합니다.

치료 옵션: 약물·생활요법

  • 1차 약제: 이뇨제, ACE 억제제, ARB, 칼슘채널차단제
  • 2차 약제: 베타차단제, 알파차단제
  • 복합요법: 두 가지 이상 약제를 병용하면 혈압 조절률이 70%↑
  • 생활습관 개선: 나트륨 하루 5g 이하, 체중 5kg 감량 시 혈압 5mmHg 감소

식단 가이드(DASH·저염)

DASH 식단은 과일, 채소, 저지방 단백질, 통곡물 위주로 구성되며 혈압을 평균 11mmHg 낮춘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 채소 5회/일, 과일 4회/일
  • 저지방 유제품 2회/일
  • 적색육·가공식품 줄이고, 견과류·올리브유 섭취
  • 가공식품 라벨 확인: 나트륨 100g당 200mg 이하


운동 및 생활 관리법

  • 주 5회, 30분 중강도 유산소(빠르게 걷기, 자전거)
  • 주 2회 근력운동 병행
  • 금연·절주: 음주는 남 2잔, 여 1잔 이하
  • 스트레스 완화: 명상, 심호흡, 7시간 숙면
  • 혈압 기록 앱 활용, 매월 패턴 분석

최신 연구·통계

대한고혈압학회 2025 보고에 따르면 국내 30세 이상 성인 고혈압 유병률은 33%, 조절률은 47%에 불과합니다. NEJM(2024) 메타분석에서는 나트륨 섭취를 하루 2g 줄이면 뇌졸중 위험이 13% 감소했습니다. 스마트워치 혈압 측정 기술은 평균 오차 ±5mmHg로 가정 관리에 활용되고 있습니다.

FAQ

  • Q. 커피 마셔도 되나요?
    A. 하루 1잔 이내는 허용되지만, 카페인에 민감한 경우 혈압 급상승 가능
  • Q. 약은 평생 먹어야 하나요?
    A. 생활습관 개선 후 전문의 판단에 따라 감량 가능
  • Q. 소금 대신 쓸 수 있는 건?
    A. 허브·레몬·후추로 풍미를 더하면 저염 식단 지속이 쉽습니다
  • Q. 운동 시 혈압이 오르는데 괜찮나요?
    A. 일시적 상승은 정상, 하지만 가슴통증·어지럼 동반 시 중단 후 진료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위고비 가격 2025 | 한 달 비용·보험·용량별 가격표·처방 가이드

침향환 효능과 부작용,복용 방법 정리

머위효능, 봄 산나물의 건강 포텐셜 재발견